아기가 장난감을 갖고 놀지 않을때, 왜일까요?

2025. 2. 12. 15:50육아 꿀팁 : 세상의 모든 엄마들을 위해

반응형

 

아기가 장난감을 가지고 놀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.

그리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도 아기의 성향과 발달 단계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.

1. 왜 장난감을 안 가지고 놀까요?

아기가 장난감을 가지고 놀지 않는 이유를 이해하면 더 적절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어요.

① 발달 단계에 따른 관심 변화

  • 신생아나 생후 몇 개월 아기는 아직 손을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사물을 탐색하는 능력이 부족할 수 있어요.
  • 생후 6개월~1세 이후에는 오히려 주변 환경(부모, 가전제품, 집안 물건 등)에 더 관심을 보일 수도 있어요.

② 장난감이 흥미롭지 않음

  • 장난감의 색감, 질감, 소리, 움직임 등이 아이의 관심을 끌지 못할 수도 있어요.
  • 아이의 발달 수준보다 너무 어렵거나 너무 쉬운 장난감일 수도 있어요.

③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더 좋아함

  • 어떤 아기들은 장난감보다 부모, 형제자매, 보호자와 놀고 싶어 해요.
  • 애착 형성이 중요한 시기라면 장난감보다 보호자와의 교감을 더 원할 수도 있어요.

④ 감각적 선호 차이

  • 일부 아기는 특정 촉감이나 소리에 민감할 수 있어요. 예를 들어, 삑삑 소리가 나는 장난감이나 털이 많은 인형이 불편할 수도 있어요.
  • 반대로 감각 추구 성향이 강한 아이들은 특정 장난감(빛이 나거나 소리가 나는 장난감 등)만 좋아할 수도 있어요.

⑤ 건강 상태나 발달 문제

  • 발달 지연(예: 자폐 스펙트럼 장애, 감각 처리 어려움)이 있는 경우 장난감 놀이에 덜 관심을 가질 수도 있어요.
  • 시각, 청각, 촉각 등 감각 발달에 문제가 있으면 장난감 탐색이 어려울 수도 있어요.

2. 아기가 장난감을 가지고 놀게 하려면?

① 아이의 흥미를 관찰하기

  • 특정 물건(숟가락, 리모컨, 천 등)에 관심을 보이면 비슷한 촉감이나 기능을 가진 장난감을 제공해보세요.
  • 아이가 좋아하는 행동(던지기, 두드리기, 입에 넣기 등)에 맞춰 장난감을 선택하세요.

② 놀이 방법을 보여주기

  • 처음에는 부모가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모습을 보여주고, 아이가 자연스럽게 따라 하도록 유도하세요.
  • "이렇게 해볼까?" 하면서 함께 탐색해보는 것도 좋아요.

③ 다양한 장난감을 제공하되, 한 번에 너무 많지 않게

  • 여러 장난감을 동시에 주면 아이가 집중하지 못할 수 있어요.
  • 한 가지 장난감에 익숙해질 시간을 주고, 주기적으로 다른 장난감과 교체해 주세요.

④ 장난감을 생활 속 사물과 연관짓기

  • 블록을 컵처럼 사용해 물을 떠보거나, 장난감 자동차를 실제 자동차처럼 움직이게 하는 등 현실과 연결된 놀이를 시도해보세요.

⑤ 감각적 특성 고려하기

  • 촉각에 민감한 아기는 부드러운 천 장난감을, 시각 자극이 필요한 아기는 색이 강한 장난감을, 소리를 좋아하는 아기는 악기류 장난감을 제공해보세요.

⑥ 부모와 함께하는 놀이 늘리기

  • 아이가 놀이 방법을 몰라서 흥미를 못 느낄 수도 있어요. 부모가 직접 참여하여 즐겁게 놀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높아요.

3. 교육적, 의학적 근거

① 놀이가 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

  • 놀이 기반 학습(Play-Based Learning) 이론에 따르면, 아기는 놀이를 통해 감각, 운동, 인지, 사회성 등을 발달시켜요.
  • 연구에 따르면, 자유 놀이(free play)는 창의력, 문제 해결 능력, 자기 조절 능력 등을 기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요.

② 애착 이론(Attachment Theory, Bowlby)

  • 0~2세는 애착 형성이 중요한 시기로, 장난감보다는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더 선호할 수 있어요.
  • 부모와 함께 놀이하는 것이 애착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, 정서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어요.

③ 감각 통합(Sensory Integration) 이론

  • 장난감 놀이가 부족한 아이 중 일부는 감각 처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어요.
  • 감각 탐색 활동(예: 모래 놀이, 물놀이, 촉각 책 등)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.

④ 자폐 스펙트럼 장애(ASD)와 장난감 놀이

  • 자폐 아동은 일반적으로 장난감보다는 패턴, 빛, 소리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요.
  • 만약 아이가 특정한 것만 반복적으로 만지거나, 사회적 놀이에 관심이 전혀 없다면 전문가 상담이 필요할 수도 있어요.

4. 결론: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어요!

아기가 장난감에 관심이 없다고 해서 반드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에요.
✔ 아이의 관심사를 파악하고, 적절한 놀이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.
✔ 부모가 함께 놀아주면서 장난감 활용법을 자연스럽게 보여주세요.
✔ 아이가 즐겁게 놀 수 있도록 강요하지 말고 다양한 시도를 해보세요! 😊

반응형